[달라진 학종평가]① 입학사정관이 알려주는 '새로운 학종 평가방식' 마스터하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큰물
작성일 22-06-17 10:34
작성일 22-06-17 10:34
본문
학종 평가 요소 달라진다!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 ⇒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요소로 2017년 6개 대학에서 정리한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 등 4가지 영역이 가장 널리 사용돼 왔다. 하지만 2022학년도부터 문이과 통합 선발, 생기부 기재사항 축소 등 입시에 대변화가 몰아치면서, 새로운 학종 평가방법이 필요하게 됐다.
이에 기존의 평가요소를 설계했던 건국대·경희대·연세대·중앙대·한국외대 5개 대학이 '학생부종합전형 공통 평가요소 및 항목 개선 연구'를 새롭게 실시했다. 그 결과 2023학년도부터 학종 평가요소를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의 3가지 역량으로 변경하고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공개했다.
5개 대학 연구진이 발표한 'NEW 학생부종합전형 공통 평가요소 및 평가항목'은 학종 평가요소와 평가항목 표준안을 각각 3가지 평가요소별로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연구진은 학생들이 자료를 활용할 시에 너무 일반화하지 않기를 당부하고 있다.
학종 공통 평가요소 및 평가항목
이 자료는 '2021년 고교교육기여대학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연구책임자인 경희대 임진택 입학사정관을 중심으로 5개 대학 10명의 입학사정관(건국대: 이정림, 방유리나, 경희대: 이승아, 조민경, 연세대: 박정선, 안미연, 중앙대: 차정민, 장준호, 한국외대: 김창민, 이수영)이 함께 만들었다.
새로 바뀐 학종 공통 평가요소는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으로 구성된다.
이 중 학업역량은 대학교육을 충실히 이수하는데 필요한 수학능력을 뜻한다. 교과 성취수준, 학업 발전 정도, 학업의지와 노력 등을 평가한다.
다음으로 진로역량은 자신의 진로와 전공(계열)에 관한 탐색 노력과 준비정도를 말함다. 이수과목, 진로 관련 활동 등의 진로 연관성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공동체역량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갖춰야 할 바람직한 사고와 행동을 뜻한다. 학생의 태도, 타인과의 소통능력 등을 평가한다.
학업역량
대학교육을 충실히 이수하는데 필요한 수학능력
1. 학업성취도 : 고교 교육과정에서 이수한 교과의 성취수준이나 학업 발전의 정도
2. 학업태도 : 학업을 수행하고 학습해 나가려는 의지와 노력
3. 탐구력 : 지적호기심을 바탕으로 사물과 현상에 대해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
진로역량
자신의 진로와 전공(계열)에 관한 탐색 노력과 준비정도
1. 전공(계열) 관련 교과 이수 노력 : 고교 교육과정에서 전공(계열)에 필요한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한 정도
2. 전공(계열) 관련 교과성취도 : 고교 교육과정에서 전공(계열)에 필요한 과목을 수강하고 취득한 학업성취 수준
3. 진로탐색 활동과 경험 :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활동이나 경험 및 노력정도
공동체역량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갖춰야 할 바람직한 사고와 행동
1. 협업과 소통능력 : 공동체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며, 구성원들과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
2. 나눔과 배려 : 상대방을 존중하고 이해하여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며, 타인을 위하여 기꺼이 나누어 주고자 하는 태도와 행동
3. 성실성과 규칙준수 : 책임감을 바탕으로 자신의 의무를 다하고 공동체의 기본 윤리와 원칙을 준수하는 태도
4. 리더십 : 공동체의 목표 달성을 위해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이끌어가는 능력
각각의 평가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큰물입시연구소' 블로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keunmuledu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 ⇒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요소로 2017년 6개 대학에서 정리한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 등 4가지 영역이 가장 널리 사용돼 왔다. 하지만 2022학년도부터 문이과 통합 선발, 생기부 기재사항 축소 등 입시에 대변화가 몰아치면서, 새로운 학종 평가방법이 필요하게 됐다.
이에 기존의 평가요소를 설계했던 건국대·경희대·연세대·중앙대·한국외대 5개 대학이 '학생부종합전형 공통 평가요소 및 항목 개선 연구'를 새롭게 실시했다. 그 결과 2023학년도부터 학종 평가요소를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의 3가지 역량으로 변경하고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공개했다.
5개 대학 연구진이 발표한 'NEW 학생부종합전형 공통 평가요소 및 평가항목'은 학종 평가요소와 평가항목 표준안을 각각 3가지 평가요소별로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연구진은 학생들이 자료를 활용할 시에 너무 일반화하지 않기를 당부하고 있다.
학종 공통 평가요소 및 평가항목
이 자료는 '2021년 고교교육기여대학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연구책임자인 경희대 임진택 입학사정관을 중심으로 5개 대학 10명의 입학사정관(건국대: 이정림, 방유리나, 경희대: 이승아, 조민경, 연세대: 박정선, 안미연, 중앙대: 차정민, 장준호, 한국외대: 김창민, 이수영)이 함께 만들었다.
새로 바뀐 학종 공통 평가요소는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으로 구성된다.
이 중 학업역량은 대학교육을 충실히 이수하는데 필요한 수학능력을 뜻한다. 교과 성취수준, 학업 발전 정도, 학업의지와 노력 등을 평가한다.
다음으로 진로역량은 자신의 진로와 전공(계열)에 관한 탐색 노력과 준비정도를 말함다. 이수과목, 진로 관련 활동 등의 진로 연관성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공동체역량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갖춰야 할 바람직한 사고와 행동을 뜻한다. 학생의 태도, 타인과의 소통능력 등을 평가한다.
학업역량
대학교육을 충실히 이수하는데 필요한 수학능력
1. 학업성취도 : 고교 교육과정에서 이수한 교과의 성취수준이나 학업 발전의 정도
2. 학업태도 : 학업을 수행하고 학습해 나가려는 의지와 노력
3. 탐구력 : 지적호기심을 바탕으로 사물과 현상에 대해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
진로역량
자신의 진로와 전공(계열)에 관한 탐색 노력과 준비정도
1. 전공(계열) 관련 교과 이수 노력 : 고교 교육과정에서 전공(계열)에 필요한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한 정도
2. 전공(계열) 관련 교과성취도 : 고교 교육과정에서 전공(계열)에 필요한 과목을 수강하고 취득한 학업성취 수준
3. 진로탐색 활동과 경험 :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활동이나 경험 및 노력정도
공동체역량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갖춰야 할 바람직한 사고와 행동
1. 협업과 소통능력 : 공동체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며, 구성원들과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
2. 나눔과 배려 : 상대방을 존중하고 이해하여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며, 타인을 위하여 기꺼이 나누어 주고자 하는 태도와 행동
3. 성실성과 규칙준수 : 책임감을 바탕으로 자신의 의무를 다하고 공동체의 기본 윤리와 원칙을 준수하는 태도
4. 리더십 : 공동체의 목표 달성을 위해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이끌어가는 능력
각각의 평가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큰물입시연구소' 블로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keunmuledu
관련링크
- 이전글[2023 수시] 올해 학생부교과전형 트렌드 총정리! 22.06.20
- 다음글주요 대학 정시 비중 40% 넘는다지만…"고 1·2, 당장은 내신 잡는데 총력 기울여야" 22.06.14